[후분석-근수축] 근전도의 진폭 분석법(근육수축, 근긴장) 개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4-06-23 16:42본문
SEMG로부터 Time-Domain상에서 Muscle energy의 크기를 정량화하는 고전적인 방법에는 Integral averagng, RMS, Peak-to-Peak 등이 있으며 이들 중 주로 Intergral averaging과 RMS가 흔히 사용됩니다. 또한 Muscle Energy크기의 분포를 보기위해 RMS-Amplitude Probability Distribution도 많이 사용합니다.
여기서는 각 분석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신호처리 과정을 여러 세부단계로 나누어 소개합니다. 실제 락싸의 프로그램 활용시엔 이러한 세부단계를 거치지 않고 원클릭만으로 바로 최종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Integral average
다음 단계와 같이 Raw EMG신호에 절대값(Absolute or Rectified)을 취한 후, 일정 간격동안의 평균값을 계산합니다. 보통 각 근육수축시 Muscle Energy의 크기를 정량화할 때 사용합니다.
(1) Raw EMG
(2) 절대값을 취함으로써 양방향 성분만 정류합니다.
(3) 용도에 맞게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평균화합니다.
2. RMS
Integral average와 비슷하게 muscle energy를 정량화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Raw EMG를 제곱한 후, 평균값을 계산한 후 다시 제곱근을 씌우는 방법입니다.
(1) Raw EMG
(2) 제곱을 취합니다.
(3) 평균을 계산합니다.
(4) 제곱근(루트)를 취합니다.
3. Amplitude Probability Distribution
RMS신호의 확률분포를 나타냅니다.
다음 그림은 왼쪽 어깨에 통증을 느끼는 사람이 일정시간 타이핑을 했을 때 오른쪽 어깨 근육에 비해 왼쪽 어깨 근육 근전도의 확률분포가 오른쪽으로 편향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