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선택 사이트맵 한국어 영어

P300검출
여러 자극화면을 무작위순서로 반복제시한 후에 각 자극화면에
대한 ERP(Event Related Potential) 파형을 추출합니다. 추출된
ERP파형에서 자극제시 후 300ms 전후에 발생하는 양의 피크를
P300 이라 부르며, 각 자극별 P300의 진폭과 출현시점을 관찰하여
해당 자극화면에 대한 피검자의 선택적 주의력, 기억탐색 과정,
인지정도를 판정합니다.
보통 자극 제시 프로토콜에 따라 자극제시 시점 후 250ms~600ms 사이에서 피크가 출현하므로 너무 늦게 출현할 경우 late P300 또는 P600등..으로 따로 명명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P300과 같은 구성피크를 정량화하는 대표적인 변수로 진폭(Amplitude)과 잠재기(Latency)값을 활용합니다. 진폭의 경우 피크의 높이나 깊이를 의미하며 잠재기의 경우 피크의 출현시점을 의미합니다.
과거 20여년동안 보고된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P300은 정보처리과정 중 자극에 대한 선택적 주의력, 자극인지, 기억탐색, 불확실감의 해소 등을 반영한다고 합니다.
선택적 주의력(Squires et al., 1975)
자극 탐지(Hillyard et al., 1971)
기억 스캐닝(Donchin et al., 1986)
불확실감의 해소(Sutton et al., 1965)
즉 해당 자극에 대해 주의력, 기억력, 인지능력 등이 높을수록 P300의 진폭이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P300 피크가 출현한 시점(Latency)이 빨라지게 됩니다.
뇌지문 분석 프로그램
항목 사양
검사가능항목 각 제시 자극별 ERP 파형
기준자극에 대한 각 자극별 P300피크의 진폭 비교분석
정반응횟수 및 평균반응시간
파워스펙트럼 분포와 뇌파각성지표
이미지설정기능 사용자가 생성한 이미지를 최소3개 이상을 프로그램에서 뇌파측정과 동시에 제시
이미지제시방식 무작위 순서로 이미지가 화면에 제시. 1개 이미지당 평균제시수 = 60
자극동기 측정 미리 지정한 이미지들이 화면에 제시되는 시점과 장비에서 측정되는 데이터의 시간동기 유지.
피검자 키입력 화면에 제시되는 이미지 중에서 지정한 이미지가 나온 경우 피검자 키입력이 데이터수집부에서 마킹이 되어 같이 저장
피검자 키입력결과
   리포트화면
이미지가 제시된 순서대로 키반응 유무, 키반응시간 표현
평균반응시간 표시
각이미지별 ERP
   결과파형제시
각각의 이미지별로 수집된 뇌파데이터를 기반으로 ERP파형을 각각의
이미지마다 그래프를 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모든 이미지의 ERP를 중첩시켜서
보일 수 있음
ERP의 진폭비교 각 이미지의 ERP진폭을 막대그래프로 동시에 표현
기본운용 S/W
항목 사양
샘플링 주파수 128Hz, 256Hz, 512Hz 설정가능
파형표현가능 채널수 32
파형디스플레이 실시간 32채널 동시 디스플레이
데이터 저장기능 하드디스크로 최대 32채널 동시 실시간 수집,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2시간 이상 저장가능.
디스플레이
편집기능
화면에 제시되는 이미지 중에서 지정한 이미지가 나온 경우 피검자 키입력이 데이터수집
부에서 마킹이 되어 같이 저장
피검자 키입력결과
   리포트화면
파형이 디스플레이영역의 바탕색, 축의 타이틀, 축의 값의 범위 설정이 가능해야함
실시간 분석기능 Notch filter, fft, multiply, root mean square, average, standard deviation
LXSOL-B31구성품
항번 품목 세부
1 뇌지문분석 프로그램 항번3의 기본운용S/W와 연동되어 작동되며 뇌지문분석솔루션의 핵심기능이 나타남.
2 32채널 전산화뇌파측정기 머리에 총 32개의 전극을 장착가능하며, 컴퓨터와 연결되어 항번3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야 기본적인 작동이 가능
3 기본 운용 S/W 항번2의 전산화뇌파측정기를 제어하고 실시간 데이터수집 프로그램
4 장비운용 전산시스템 컴퓨터 및 모니터, 카트로 구성되며, 상기 항번1과 항번3의 S/W가 설치되며,
장치(항번2)와 컴퓨터간에 USB로 연결됨
5 전극류등의 주변품 전극, 페이스트, 일회용전극